-
목차
2025년, 여성가족부는 여성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복지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여성 복지 혜택을 분야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 한부모가족 지원 강화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
2025년 7월 1일부터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채무자에게 회수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시행됩니다. 이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하며, 자녀 1인당 월 20만 원을 18세까지 지원합니다.
아동양육비 인상
저소득 한부모가구의 아동양육비 지원액이 인상됩니다.
- 한부모: 월 21만 원 → 월 23만 원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청소년한부모: 월 35만 원 → 월 37만 원
이를 통해 한부모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자 합니다.
주거 지원 확대
한부모가족을 위한 매입 임대주택이 확대됩니다.
- 주택 수: 306호 → 326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보증금: 최대 1,000만 원 → 최대 1,100만 원
또한,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입소 기준이 완화되어 생활과 주거 지원이 강화됩니다.
2. 경력단절여성 지원 및 일·생활 균형 촉진
고부가가치 직업훈련과정 확대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고부가가치 직업훈련과정이 79개에서 89개로 확대되어,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합니다.
직업교육훈련 참여수당 신설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는 여성들에게 월 10만 원의 참여수당이 신규 지원되어 경제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새일인턴 고용유지장려금 확대
새일인턴 고용유지장려금이 380만 원에서 460만 원으로 확대되어, 여성의 지속적인 고용을 촉진합니다.
일·생활 균형 조직문화 조성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일·생활 균형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이 100개 기업에서 400개 기업으로 확대됩니다.
3. 돌봄 서비스 및 가족 지원 강화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확대
정부지원 대상을 중위소득 200% 이하 가구로 확대하고, 지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다형' 및 취학아동 가구(6~12세 자녀)의 정부지원 비율을 상향합니다.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
아이돌봄수당(요금)이 시간당 11,630원에서 12,180원으로 인상되며, 영아돌봄수당이 추가로 시간당 1,500원 지원됩니다.
4. 폭력 피해 대응 및 예방 강화
디지털성범죄 대응 체계 강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삭제 지원 범위가 불법 촬영물에서 피해자의 신상정보까지 확대되며, 전국의 디지털성범죄 피해 지원 기관의 상담전화가 1366으로 일원화됩니다.
스토킹 피해자 지원 강화
스토킹 피해자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유형의 긴급 주거 지원 시설을 지원하고, 교제 폭력 피해자 조기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진단도구 보급, 찾아가는 법률상담,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합니다.
5. 청소년 지원 및 보호
가정 밖 청소년 지원 강화
가정 밖 청소년이 시설 퇴소 시 지급받는 자립지원수당이 월 4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인상되며,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 충분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훈련비를 추가 지원합니다.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을 위한 기반 시설이 부족한 인구감소 지역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을 신규로 운영하여 청소년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합니다.
2025년 여성가족부의 이러한 정책들은 여성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각종 지원과 혜택을 적극 활용하여 더 나은 삶을 영위하시길 바랍니다.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부모 여성 가구를 위한 복지제도 A to Z" (0) 2025.03.24 출산·육아·취업까지, 여성복지정책 한눈에 보기 (0) 2025.03.23 "2025년 보육료 지원,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정보" (0) 2025.03.17 🏠 청년월세지원 vs 청년월세대출, 뭐가 다를까? (0) 2025.03.16 청년월세지원 2025: 신청 방법과 조건 총정리 (0) 2025.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