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정책N

따듯한 사회를 만드는 복지정책의 힘

  • 2025. 3. 12.

    by. 同感

    목차

      일자리 복지정책

       

      🔹 1. 국민취업지원제도 (구 취업성공패키지)

      ✅ 국민취업지원제도란?

      2021년부터 취업성공패키지가 국민취업지원제도로 개편되었습니다.
      구직자에게 1) 취업지원 서비스 + 2) 최대 월 60만 원 구직촉진수당 지급

      ✅ 지원 대상

      1유형: 저소득층(중위소득 60% 이하) / 6개월간 월 50~60만 원 지원
      2유형: 청년·경력단절여성·중장년층 /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 오프라인 신청: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접수


      🔹 2. 실업급여 (구직급여) 지원

      ✅ 실업급여란?

      ✔ 실직한 근로자가 재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생활안정을 위해 지급되는 수당
      ✔ 최대 270일까지 지급 (나이·근속 연수별 차등)

      ✅ 지원 대상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함)

      ✔ 퇴사 전 18개월 내 고용보험 가입 기간 180일 이상
      비자발적 퇴사 (권고사직, 계약만료, 정당한 사유 있는 자진퇴사 포함)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경우

      ✅ 실업급여 지급 금액

      ✔ 평균 임금의 60% × 실업급여 지급일수(120~270일)
      최저 지급액: 하루 6만 8,000원 (2024년 기준)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
      📌 오프라인 신청: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접수


      🔹 3. 고용유지지원금 – 사업주 대상 지원

      ✅ 고용유지지원금이란?

      ✔ 매출 감소 등으로 인해 고용 조정이 불가피한 기업이 직원 해고 없이 유급휴직·휴업을 실시하면 정부에서 인건비 지원

      ✅ 지원 대상

      ✔ 코로나19, 경기 침체 등으로 경영난을 겪는 기업
      ✔ 최소 1개월 이상 유급휴직·휴업 실시 기업

      ✅ 지원 금액

      휴업 시: 평균 임금의 2/3 지원
      유급휴직 시: 임금의 3/4 지원 (우선지원대상기업은 90%)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고용보험 고용유지지원금
      📌 오프라인 신청: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 방문 접수


      🔹 4. 청년·중장년층 취업 지원 정책

      ✅ 청년 도약계좌

      ✔ 만 19~34세 근로 청년 대상 월 최대 70만 원 지원
      ✔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이자 수령 가능
      📌 온라인 신청: 청년 도약계좌 신청

      ✅ 신중년 고용장려금 (중장년층 재취업 지원)

      50세 이상 구직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에 연 최대 960만 원 지원
      📌 온라인 신청: 고용노동부 신중년 일자리 지원


      🔹 5. 특수고용직·프리랜서 지원

      ✅ 고용보험 가입 지원

      ✔ 플랫폼 노동자, 배달 기사, 대리기사, 학습지 교사 등 특고·프리랜서 대상 고용보험 확대
      ✔ 실업급여·출산급여 지원

      ✅ 긴급고용안정지원금

      ✔ 코로나19 등으로 소득이 급감한 특고·프리랜서 대상 한시적 지원금 지급
      📌 온라인 신청: 고용보험 가입 및 지원


      📊 6. 대한민국 일자리 복지 정책 요약

      정책명대상주요 혜택신청 사이트
      국민취업지원제도 저소득층·청년·중장년 구직촉진수당(월 60만 원) + 취업지원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비자발적 실직자 평균임금 60% × 지급일수 (최대 270일) 고용보험
      고용유지지원금 경영난 사업장 휴업·휴직 인건비 지원 고용보험
      청년 도약계좌 청년 근로자 월 최대 70만 원 지원, 만기 시 5천만 원+이자 청년 도약계좌
      신중년 고용장려금 50세 이상 근로자 채용 기업 연 최대 960만 원 지원 고용노동부
      특고·프리랜서 지원 배달기사, 대리기사, 학습지 교사 등 고용보험 가입, 실업급여·출산급여 지원 고용보험

      일자리 복지정책

      🎯 대한민국의 일자리 복지정책을 잘 활용하자!

      ✔ 취업준비생이라면?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 실직했다면? → 실업급여 신청
      ✔ 기업 운영 중이라면? → 고용유지지원금 활용
      ✔ 청년이라면? → 청년 도약계좌, 청년 취업지원금 활용
      ✔ 50세 이상이라면? → 신중년 고용장려금 활용

      📌 각 정책은 대상 및 조건이 다르므로, 꼭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