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긴급복지지원제도란?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가정을 위해 정부가 신속하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실직, 질병, 사고, 재난 등으로 인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경우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 긴급복지지원 대상자는 누구인가?
긴급복지지원은 예기치 못한 위기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제공됩니다. 대표적인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직, 휴·폐업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중대한 질병, 부상으로 소득활동이 어려운 경우
- 화재, 자연재해로 생계가 곤란한 경우
- 가정폭력, 학대, 유기 등으로 보호가 필요한 경우
- 주 소득자의 사망, 이혼, 가출로 인해 생계가 어려운 경우
- 그 외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긴급한 위기 상황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75% 이하, 재산 기준은 대도시 2억 4,100만 원 이하, 중소도시 1억 5,200만 원 이하, 농어촌 1억 3,000만 원 이하입니다. 금융재산은 600만 원(1인 가구 기준) 이하이어야 합니다.
3. 지원 내용: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1) 생계 지원
- 위기 상황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 1인 가구 기준 월 67만 3,400원, 4인 가구 기준 월 162만 5,400원 지급
(2) 의료 지원
- 긴급한 의료 처치가 필요한 경우
- 입원비 및 치료비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
(3) 주거 지원
- 갑작스러운 실직, 퇴거 명령 등으로 주거지가 없는 경우
- 1인 가구 기준 월 26만 4,300원, 4인 가구 기준 월 44만 3,900원 지원
(4) 사회복지시설 이용 지원
- 복지시설 이용이 필요한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시설비 지원
(5) 교육 지원
- 초·중·고등학생의 학습을 위한 지원
- 초등학생 12만 9,000원, 중학생 20만 9,000원, 고등학생 24만 9,000원 지급
(6) 기타 지원
- 연료비 지원: 동절기(11월~3월) 동안 난방비 지급
- 전기요금 지원: 체납으로 단전될 위기에 처한 경우 지원
- 장제비 지원: 가족의 사망으로 장례를 치를 수 없는 경우 최대 80만 원 지원
4. 신청 방법: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
긴급복지지원 신청은 **본인 또는 가족, 이웃, 관계기관(학교, 복지기관 등)**에서 가능합니다.
신청 방법
- 전화 신청: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방문 신청: 주소지 관할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https://www.bokjiro.go.kr
처리 절차
- 신청 접수 후 48시간 내 긴급지원 결정
- 현장 조사 및 소득·재산 심사 진행
- 지원 결정 후 즉시 생계비, 의료비 등 지급
위기 상황에서는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대한민국의 긴급복지지원제도는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서 신속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등 꼭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위기 상황에 처했다면 망설이지 말고 신청하세요.
참고 자료:
- 보건복지부 긴급복지지원제도 안내: https://www.mohw.go.kr
- 복지로 긴급복지 지원 신청: https://www.bokjiro.go.kr
-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장애인연금과 수당, 대상자 및 지원 내용 알아보기 (0) 2025.03.09 "출산을 고민하는 부부라면 필수 체크! 대한민국 출산지원정책 총정리" (1) 2025.03.09 "청소년 복지정책 총정리 (2) 2025.03.08 "국민건강보험 vs. 의료급여, 당신은 어디에 해당될까? 대한민국 의료복지제도 완벽 비교!" (0) 2025.03.07 대한민국 노인복지제도, 부모님을 위한 지원정책은? (0)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