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책

의료급여제도란? 건강보험과 차이점 완벽 정리

同感 2025. 3. 27. 07:17

 

의료급여제도란? 건강보험과 차이점 완벽 정리

✅ 1. 의료급여제도란?

의료급여는 「의료급여법」에 따라 저소득층 등 특정 대상자에게 진료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정부 재정으로 부담해 주는 제도입니다.

✔ 주요 특징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원으로 운영
  • 건강보험과 별개의 제도
  • 대상자에게 진료비를 낮은 본인부담금으로 제공

✅ 2. 의료급여 대상자

의료급여 대상은 1종2종으로 구분되며, 자격에 따라 본인부담금 및 혜택이 다릅니다.

● 1종 수급권자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 시설수급자
  • 희귀·난치·중증질환자
  • 행려환자
  • 등록 장애인

● 2종 수급권자

  •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기타 조건을 갖춘 저소득층

👉 참고: 보건복지부 의료급여제도 안내

✅ 3. 급여 항목

의료급여는 급여항목과 비급여항목으로 나뉩니다.

✔ 급여 항목

  • 외래 진료비, 입원비, 수술비, 검사비, 입원 식대
  • CT, MRI, 초음파 등 일부 영상검사
  • 의약품 및 처방약

✔ 비급여 항목

  • 미용 목적의 시술
  • 일부 고급 병실료
  • 건강검진(기본 제외)

✅ 4. 본인부담금 차이

항목1종 수급권자2종 수급권자
외래 진료(의원급) 1,000원 진료비의 15%
병원급 1,500원 진료비의 15%
종합병원 2,000원 진료비의 15%
상급종합병원 2,000원 진료비의 15%
입원 무료 또는 소액 부담 진료비의 10%

※ 처방약 본인부담금: 1종 500원, 2종 1,000원

✅ 5. 건강보험과의 비교

항목의료급여제도건강보험제도
대상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대한민국 국민 전체
운영 주체 국가, 지자체 국민건강보험공단
본인부담금 매우 낮음 통상 20~30% 수준
가입 방법 자격 충족 시 자동 등록 모든 국민 의무 가입
이용 제약 의료급여 지정기관 위주 병원 자유 선택 가능

👉 참고: 건강보험공단 공식 사이트

✅ 6.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 신청처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 필요 서류

  • 신분증
  • 소득 및 재산 확인서류 (필요 시)

✔ 유의사항

  • 의료급여는 중복 지원 불가 (건강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등과 중복 사용 불가)
  • 지정된 의료기관 이용 원칙 (의료급여기관)

✅ 7. 의료급여자 추가 혜택

  • 건강생활유지비 지원: 외래 본인부담금 완화 목적 (월 12,000원)
  • 약제비 본인부담 상한제: 저소득층 약제부담 경감
  • 입원 시 선택진료비 미부과

의료급여제도란? 건강보험과 차이점 완벽 정리


의료급여제도는 단순히 의료비를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저소득층의 건강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사회 안전망입니다.
건강보험과 구조적 차이를 이해하고, 해당되는 경우 반드시 신청하여 혜택을 누리세요.

 

🔗 관련 정보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