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책

대한민국 장애인연금과 수당, 대상자 및 지원 내용 알아보기

同感 2025. 3. 9. 05:55

장애인연금과 수당

1. 대한민국 장애인연금과 수당,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장애를 가진 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적인 생활을 돕기 위해 정부는 장애인연금과 장애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장애 정도에 따라 지원 금액과 대상이 달라지므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장애인연금 – 기초생활 보장과 더불어 지급되는 연금제도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기존 1~2급, 또는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에게 지급되는 급여로,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구성됩니다.

(1) 지원 대상

  •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
  • 소득·재산 기준 충족 (소득하위 70% 이하)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우선 지원

(2) 지원 내용

 기초급여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월 최대 40만 3,000원
  • 일반 수급자: 월 최대 25만 4,000원

 부가급여

  • 기초생활수급자: 월 8만 원
  • 차상위계층: 월 7만 원
  • 일반 저소득 장애인: 월 2만 원

(3) 신청 방법

3. 장애수당 – 경증 장애인을 위한 경제적 지원

장애수당은 장애인연금을 받을 수 없는 경증 장애인(기존 3~6급,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에게 지급되는 지원금입니다.

(1) 지원 대상

  • 만 18세 이상 장애인 중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중증장애인은 장애인연금 대상이므로 제외됨

(2) 지원 내용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월 4만 원~6만 원 지급
 국가유공자 중 장애등급을 받은 사람: 월 3만 원 지급

(3) 신청 방법

4.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 생활을 돕는 추가 지원

장애인연금 및 장애수당 외에도, 일상생활을 돕기 위한 활동지원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지원 대상

  • 만 6세 이상~65세 미만 장애인
  • 장애등급과 관계없이 서비스 이용 가능

 지원 내용

  • 활동지원급여 지급 (월 100시간~300시간 이상)
  • 도우미 지원 (가사, 이동지원, 신체활동 보조 등)
  • 소득에 따라 본인 부담금 차등 적용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방문 신청

5. 추가 장애인 복지 혜택 – 놓치지 말아야 할 지원제도!

장애인연금과 장애수당 외에도 다양한 복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교통비 지원

  • 장애인 콜택시 할인 및 무료 이용
  •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전기·도시가스 요금 감면

  • 기초생활수급 장애인 월 최대 16,000원 감면
  • 도시가스 요금 월 24,000원 감면

 장애인 차량 등록 시 세금 감면

  • 자동차 취득세 및 등록세 면제
  • 장애인 주차구역 이용 가능

 장애인 의료비 지원

  • 본인 부담금 경감 혜택
  • 보장구(휠체어, 보청기 등) 지원

장애인연금과 수당, 꼭 신청해서 혜택 받으세요!

장애가 있는 분들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 혜택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장애인연금, 장애수당, 활동지원서비스뿐만 아니라 교통비, 전기·가스요금 감면 등도 함께 신청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세요.

 

📌 참고 자료